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국의 청교도 혁명과 명예혁명

by =͟͟͞͞Ꙭ̫ 2023. 2. 13.

1642년 영국의 왕과 의회를 중심으로 갈라져 두 계파사이에서 전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청교도혁명이다. 제임스 2세가 망명하자 메리와 월리엄 3세로 유혈사태 없이 정권교체를 이룬 사건을 명예혁명이라 한다.

 

영국의 청교도 혁명

영국 농촌에서는 장원제가 무너지면서 자영 농민층이 형성되고 지주층이 젠트리가 나타났다. 젠트리는 인클로저 운동을 주도하면서 부를 쌓아, 농촌의 행정을 책임지는 등 사회 지도층이 되어 갔다. 16~17세기에 젠트리는 도시에서 상공업으로 성장한 시민과 함께 의회에 진출하여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부분 청교도였던 젠트리와 시민은 의회에서 왕실의 부패를 비판하고 의회 중심의 입헌주의 전통을 지키려 하였다. 엘리자베스 1세가 죽고 스튜어트 왕조의 제임스 1세가 즉위하였다. 그는 왕권신수설과 국교회를 고수하여 의회를 무시하고 전제 정치를 펼쳤다. 그의 아들 찰스 1세도 의회의 동의 없이 과세하고 청교도를 박해하여 왕과 의회의 갈등이 커졌다. 이에 의회는 동의 없는 과세금지, 이유의 명시 없는 체포나 구속 금지 등을 담은 권리 청원을 제출하였다. 대외 전쟁 비용이 필요하였던 찰스 1세는 이에 동의하였으나, 곧 의회를 해산하고 한동안 소집하지 않았다. 이후 찰스 1세는 스코틀랜드와의 전쟁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를 소집하고, 새로 소집된 의회는 왕의 실정을 비판하고 과세 요구를 거부하였다. 왕은 의회를 무력으로 탄압하였고, 의회도 무력으로 맞서 왕당파와 의회파 사이에 내란이 발생하였는데 이것이 청교도 혁명이라 한다. 청교도인 크롬웰이 주도하는 의회파는 승리를 거두고 찰스1세를 처형한 뒤 공화정을 수립하였다.

 

영국의 명예혁명

크롬웰 사후 왕정복고로 즉위한 찰스 2세는 가톨릭교도를 우대하고 전제 정치를 추구하였다. 이에 의회는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국교도의 공직 취임을 금지하는 심사법과 불법적인 체포 및 구속을 금지하는 인신 보호법을 제정하였다. 이때부터 왕을 지지하는 토리당과 의회를 존중하는 휘그당이 의회에서 대립하였다. 찰스 2세를 뒤이은 제임스 2세는 친가톨릭 정책을 펼치고 심사법과 인신 보호법을 무시하는 등 전제 정치를 부활시켰다. 이에 의회는 제임스 2세를 폐위하고, 공주이자 신교도인 메리와 그녀의 남편인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을 공동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를 유혈 사태 없이 이루어진 혁명이라 하여 명예혁명이라고 한다. 왕위에 오른 메리와 윌리엄은 의회가 제정한 권리 장전을 승인하였다. 이로써 왕이 의회 속에 있다.라는 전통이 수립되고 의회 중심의 입헌 군주제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후 영국은 꾸준히 발전하여, 앤 여왕 때에는 스코틀랜드를 병합하여 브리튼섬을 통합한 연합 왕국이 성립하였다. 앤이 후사 없이 죽자 독일 하노버공 조지1세가 즉위하여 하노버 왕조가 열렸다. 그는 영어를 모르고 영국 사정에도 어두워 정치에 관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의회 다수당이 내각을 구성하여 내각 책임제가 시작되었고, 왕은 군림하나 통치하지 않는다.라는 영국 특유의 전통이 세워졌다.

댓글